티스토리 뷰
목차
법인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는 법인이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한 지방세(재산세, 취득세, 주민세, 자동차세 등)의 내역을 세목별로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입니다. 이 문서는 공공 입찰, 금융기관 제출, 인허가, 정책자금 신청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법인의 성실 납세 여부를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자료로 활용됩니다.
예전에는 법인 대표가 관할 시청이나 구청을 직접 방문해야만 발급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인터넷(정부24 또는 위택스)을 통해 비대면으로도 손쉽게 발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단, 법인용 공동인증서가 필수이며, 로그인 방식과 발급 절차는 개인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
1. 법인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란?
법인의 세목별 과세증명서는 법인 명의로 부과된 지방세에 대한 과세 및 납부 내역을 세목 단위로 구체적으로 기록한 문서입니다. 여기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됩니다:
- 법인명(상호)
- 사업자등록번호
- 과세연도 및 기간
- 세목별 항목: 재산세, 취득세, 자동차세, 주민세 등
- 과세금액, 납부 여부, 체납 여부
이 문서는 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은행, 법원 등에서 제출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는 전자입찰 시스템(G2B), 중소기업 정책 자금, 건설업 등록·갱신 등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
2. 인터넷 발급 방법 (위택스 기준)
법인은 위택스(Wetax, https://www.wetax.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 단, 개인용 인증서가 아닌 법인용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야 합니다.
- 위택스 접속: www.wetax.go.kr
- [로그인] 클릭 → 법인용 공동인증서 선택
- 상단 메뉴에서 [지방세] →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선택
- 신청 화면에서 다음 항목 입력:
- 과세기간 (예: 2022년 ~ 2024년)
- 세목 (재산세, 취득세 등 필요 세목 체크)
- 발급용도 (입찰, 금융기관, 보조금 신청 등)
- 제출처 입력
- 미리 보기 확인 → [발급] 클릭
- PDF 저장 또는 프린터 출력
※ 위택스에서 발급한 증명서는 전자문서 진위확인번호가 포함되어 있어 오프라인 제출 시에도 공적 효력을 가집니다.
---
3. 발급 조건 및 준비물
- 법인 공동인증서 필수: 대표자 개인 인증서로는 발급 불가. 반드시 법인 명의 인증서 사용
- 인터넷 브라우저 호환 확인: 익스플로러 또는 크롬 최신 버전 권장. 일부 팝업 차단 해제 필요
- 출력용 프린터 또는 PDF 저장 프로그램 준비
---
4. 자주 묻는 질문 및 유의사항
Q1. 개인 인증서로도 법인 과세증명서 발급 가능한가요?
A.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법인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해야만 법인 명의 증명서가 발급됩니다.
Q2. 여러 세목이 필요하면 한 번에 발급 가능한가요?
A. 예. 위택스 신청화면에서 복수의 세목을 체크하면 하나의 증명서에 병기되어 발급됩니다.
Q3. 체납이 있을 경우에도 발급 가능한가요?
A. 체납이 있어도 발급은 가능하지만, 증명서에 ‘체납 있음’으로 표기되어 제출처에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체납 정리 후 발급을 권장합니다.
Q4. 정부24에서도 법인 과세증명서 발급이 가능한가요?
A. 정부24는 일부 지자체에서만 법인 지방세 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는 위택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빠릅니다.
---
결론: 법인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위택스를 통해 안전하게 발급하세요
법인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는 기업의 신뢰성과 세무 성실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공식문서입니다. 위택스를 통한 온라인 발급은 쉽고 빠르며, 방문 없이도 전국 어디서든 발급이 가능해 많은 기업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발급을 위해서는 반드시 법인용 공동인증서가 필요하고, 정확한 세목 선택과 발급 용도 확인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정부기관, 금융기관, 입찰기관 등에 제출하기 전, 증명서 내용과 기간, 체납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이제 번거롭게 관공서를 방문하지 않아도, 위택스를 통해 법인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를 손쉽게 발급받아 보세요!